미국 증시 동향
- 견고한 고용지표 발표 여파로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 출회되며 나스닥이 1% 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임.
- 그런 가운데 FOMC 결과75bp 인상했으나 추가 금리인상은 경제와 금융 발전을 고려 할 것이라고 언급하자 달러 약세.
- 금리도 하락하자 지수는 상승 전환 성공.
- 그러나 파월 의장이 궁극적인 금리 수준은 예상보다 높을 것이라고 주장하자 재차 하락 전환 후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낙폭 확대되며 마감
- 다우: -1.55%, 나스닥: -3.36%, S&P500: -2.50%, 러셀2000: -3.36%
특이 종목
- AMD :-1.73%
4분기 전망 등이 부진했으나 최악을 지났다는 점과 데이터 센터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는 발표로 내년 관련 부문의 성장에 대한 기대로 상승하고
- 엔비디아: -2.39%
동반 상승하기도 했으나 파월 발언 이후 하락 전환.
- 퀄컴: -4.12%
견고한 실적 불구 가이던스 하향 조정 여파로 시간 외 5% 하락 중.
- 에스티로더: -8.13%
예상을 상회한 실적에도 불구하고 중국 코로나 정책과 강달러 등으로 가이던스 부진 소식에 하락.
- 에어비앤비: -13.43%
예상을 상회한 결과를 내놓았으나 가이던스 둔화와 성장에 대한 우려로 하락.
- 테슬라: -5.64%
번스타인이 주가가 현재 매우 고평가 되어 있고 전기차 경쟁이 심화돼 성장 문제에 직면해 있다고 발표하자 하락 후 파월 발언 여파로 낙폭 확대.
- 더불어 완전자율 주행에 대한 부분도 신중해야 한다고 언급.
- 반면, 샤오펑: +2.96%, 리오토: +11.95% 등 중국 전기차 업종은 최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강세.
- CVS: +2.30%
예상을 상회한 실적과 가이던스 상향 조정에 힘입어 강세.
- 보잉: +2.81%
CFO가 737맥스 등의 인도량 증가를 언급하자 상승.
- 넷플릭스: -4.80%
니드햄이 광고 기반 제품으로 단기적인 마이너스 성장을 볼 수 있다며 투자의견을 Hold로 유지하자 하락
- 아마존: -4.82%, 애플: -3.73%, MS: -3.54%, 알파벳: -3.87% 등 1~2% 내외 하락하던 대형 기술주는
FOMC 이후 달러 약세로 상승 전환하기도 했으나, 파월 발언 이후 재차 3% 내외 하락 전환.
한국 증시 전망
- MSCI 한국 지수 ETF: 1.84% 하락
- MSCI 신흥 지수 ETF: 0.83% 하락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 1,423.00원으로 반영시 달러/원 환율 5원 상승 출발 예상.
- Eurex KOSPI200 선물: 1.49% 하락.
- KOSPI: 1.5% 내외 하락 출발 예상.
밤부스 생각
- 금일 전약 후강 시장 될 듯.
- 외인의 수급이 강하다는 점.
- 연준위원의 발언이 완벽한 매파적이 아니었다는 점.
- 반도체 실적은 잘 나온점 (물론 내년 수요는 깎여서 하락 할 것으로 추정되지만)
- 단기적으로 먹을 부분 있겠다.
- 장 초 매수 전략 유지.
'전일 해외 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1.08(화) 출산으로 인한 휴가 (0) | 2022.11.08 |
---|---|
22.11.04 (금) 전일 해외 증시 (0) | 2022.11.04 |
22.11.02 (수) 전일 해외 증시 (0) | 2022.11.02 |
22.11.01 (화) 전일 해외 증시 (0) | 2022.11.01 |
22.10.31 (월) 전일 해외 증시 (0) | 2022.10.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