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 코인에 관해서는 아래 게시글에 정리했으니 보면 됨.
스테이블 코인
스테이블 코인이란 스테이블 코인이 생겨나게 된 이유를 알려면 일단 비트코인과 화폐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비트코인의 경우 사토시가 08년 퍼블리싱했던 논문을 보면 제목이 A peer to peer electr
bambooasset.tistory.com
태라 전체 생태계
테라 생태계 주요 프로젝트
1. 앵커 (Anchor)
2. 미러 (Mirror)
3. 라이도 (Lido)
4. 루니
5. 테라스왑, 파일론 프로토콜, 발키리프로토콜, 테라월드, 랜덤 어스 등
1. 앵커프로토콜
- 스테이블 코인으로 높은 일드 (Yield)를 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진 서비스.
- 앵커에 UST를 예치하면 19.52% APY를 얻을 수 있음.
- 대출 서비스도 제공 중, LUNA를 스테이킹하면 bLUNA를 받고, bLUNA를 담보로 대출을 받을 수 있음.
- 루나를 b루나로 바꿈-> 담보로 제공-> UST대출-> 빌린 UST로 예치후 이자 소득 얻음.
1. Luna 코인 매수 (빗썸, 업비트, 바이낸스 등)
2. 테라스테이션 지갑으로 코인 송금
3. 앵커프로토콜과 테라스테이션 지갑 연결
4. 루나를 b루나로 민팅(변환)
5. b루나를 담보로 제공 ->UST 대출(borrow)
6. UST 예치 (=예금=디파짓)
(예치는 디파이에서 금융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참여자가 예치금을 모아 유동성을 만들어 주는 것, 디파이는 기관이 없기 때문에 우리가 예금자자 동시 기관 역할까지 함)
7. 루나가격 변동에 따라 대출 관리.
2. 미러 (Mirror)
- 미러는 합성자산 (Synthetic Asset) 거래소
- 미러를 통해서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S&P500 등과 같은 미국 주식들의 Mirrored Asset (mAsset)에 대한 투자를 할 수 있음.
- mAsset을 통해 실제 해당 자산을 보유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분할 구매 가능해지고 지리와 시간의 한계 넘을 수 있음.
- Borrow와 Farm을 통해 자산의 가격 변동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 시킨 상태에서, 롱파밍, 숏파밍 등으로 MIR 토큰도 수령 가능.
(롱파밍: 합성자산과 UST로 LP 제공하면서 MIR 채굴,
숏파밍: 담보를 바탕으로 합성자산을 빌리고 떨어지는 것에 배팅하면서 추가적으로 MIR 채굴)
미러 원리
- 담보 200%를 제공하고 인증된 합성자산을 빌릴 수 있음.
ex: 구글, 테슬라의 주식을 빌리거나 BTC를 빌릴 수 있음.
- 이때 mAsset 이라는 자산이 생성됨.
- 주식은 1단위가 아니라 소수점 단위 생성 가능.
- 빌리는 행위 자체는 새롭게 해당 합성자산을 민팅하는 것으로 안전자산 이하로 떨어질 경우 담보 자산이 청산 됨.
- 이 외에 기존에 이미 합성된 토큰을 현물로 사거나 MIR 토큰을 파밍할 수 있는 Defi 등 가능.
3. Lido (라이도)
- 라이도는 이더리움 2.0 스테이킹 솔루션으로 등장한 프로젝트
- ETH 스테이커에게 stETH를 제공하여 스테이킹에 의해 잃게 되는 기회비용을 보상하는 것.
- 라이도는 앵커와 파트너십을 맺으며 stETH를 bETH로 랩핑 (wrapping)
- 이더리움 스테이킹을 통해서도 UST를 빌릴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놓음.
-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유동성을 끌어들이는 방식
- 이로써 bLUNA를 통한 담보 대출만이 가능했던 앵커의 한계를 라이도가 해결해줌.
4. 루니
- 이익과 즐거움을 가져다 줄 테라 네트워크의상의 탈중앙 토큰
- 핵심 유틸리티: LUNI, NFT발행, P2E 게임, 스테이킹 리워드, 모바일앱, Terra 기반 지갑, 커뮤니티를 위한 실제 이벤트,
LUNILAND
- LUNILAND 는 테라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요소를 가미한 메타버스 프로젝트.
- LUNI$ 토큰과 LUNILAND NFT가 사용됨.
- 첫번째 Map 은 100x100으로 총 10,000개 공간을 제공함.
- 다른 유사한 게임들과 다르게 50%만 플롯으로 할당하고 나머지 50%는 자연환경, 공동빌딩, 게임환경을 구성할 특별한 object 들에 사용됨.
- LUNILAND map은 마인크래프트처럼 여러 지역들로 구성됨. 첫번째 세상에는 산, 눈, 잔디, 숲, 공원, 호수, 강, 해변, 마을, 도시, 등으로 설계했다고함.
- 프레이어는 게임을 하기 위해서 플롯(땅)을 얻고, 건물을 올리고, 그것들을 NFT로 연계시킬 수 있음.
- 특정 NFT는 특정한 플롯(땅)에서만 가능.
ex: 해별 호텔은 모래 위에만 세울 수 있음.
- 재산은 크게 세가지 타입으로 나눌 수 있음. Plot 당 갯수나 성격에 따라
'Standard', 'Premium'으로 나누고, Landlord LUNILAND NFT 홀더에게만 주는 'Lanlord' 가 있음.
- UNILAND NFT는 총 200개로 Business 120개, Skins 60개, Landlord 20개로 구성될 예정
- Business LUNILAND NFT에 의해서 Plot 홀더들은 수익을 얻을 수 있음.
- 구역에 따라 Business 종류에 따라
수익이 다를 것이라고 하는데, 구체적인 메카니즘은 추후 공개 예정
- 추후 게임도 출시 예정
5.
테라스왑
- 유니스왑에 영향을 받아 만들어진 AMM (Automatic Market Maker)
- 현재 스왑, 출금, LP 참여만 가능한 상태
- TVL의 대부분은 ETH로 구성돼있음. 약 11억 4천만 달러 수준 TVL
파일런 프로토콜
- UST예치금을 스테이킹함으로써 토큰 혹은 어떤 종류의 서비스로 보상 받음.
- 파일런 프로토콜은 참여자가 제공하는 UST 예치금을 이용해 앵커와 같은 스테이블 코인 일드파밍 프로젝트로부터
나오는 이자로 프로젝트를 지원.
-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지속 가능한 런치패드를 지향하기 때문에 러그풀이라거나 토큰 가격의 하락과 같은 리스크를 약정기간을 통해 해결하고자 함.
발키리 프로토콜
- 레퍼럴을 통한 보상체계, 컨텐츠 공유와 참여를 독려하여 디앱 런칭 캠페인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
- Share to Earn (공유를 통한 소득)을 통해 디앱 활성화를 하는 것을 목적으로 밝히고 있음.
- 22년 상반기 스마트에어드랍을 통한 런칭 계획 발표.
(스마트에어드랍: 기존 에어드랍 단점을 보완하여 엄격한 심사를 통해 보상받는 사용자를 말함)
테라 월드
- 오피스 메타버스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프로젝트
- 코로나 19로 인해 증가하는 재택근무에 대한 수요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 만들어짐.
- 자체 토큰인 TWD 를 발행하여 테라 월드 내에서 사무실 인테리어나 트랜젝션을 위해 사용한다고 밝힘.
- TWD-UST 유동성 풀도 운영.
랜덤어스
- 탈중앙화된 호가표를 도입하여 UST 같은 스테이블 코인부터 NFT까지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 만드는 것이 목표
- 현재는 RandomEarth.io라고 불리는 NFT 마켓플레이스 밖에 없지만 이미 Sigma Protocol, Prism Project와 같이
옵션과 파생 상품을 취급하는 프로젝트들과 협업 중.
- NFT 마켓플레이스에서는 분할 NFT 거래와 무담보 경매 참여 기능을 도입해 사용자들에게 폭넓은 선택권 제공 중.
'코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테이블 코인 (5) | 2022.04.12 |
---|---|
기본적인 코인 용어 (1) | 2022.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