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S43

22.10.31 (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부진한 아마존: -6.80% 실적 발표로 대형 기술주가 약세를 보이며 보합권 혼조 출발. - 그렇지만, 아마존은 물론 애플: +7.55%의 CEO 등이 달러 강세가 실적에 막대한 영향을 줬을 뿐 이를 제외한다면 크게 개선되었다고 발표한 데 힘입어 상승 확대. - 특히 시장 참여자들은 연준의 금리인상이 마무리되고 있어 달러 강세가 지속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점이 관련 발언과 함께 투자 심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 - 다우: +2.59%, 나스닥: +2.78%, S&P500: +2.46%, 러셀2000: +2.25% 특이 종목 - 애플: +7.55% 실적 발표 후 환율 이슈가 없었다면 두 자릿수 성장을 했을 것이라는 팀 쿡 CEO의 발언에 힘입어 상승. - 더불어 일부 주요 품목의 매출 .. 2022. 10. 31.
22.10.27 (목)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부진한 대형 기술주 실적 발표로 나스닥이 2% 넘게 하락 출발. - 이후 달러 약세 및 금리 하락에 힘입어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자 나스닥이 상승 전환하기도 하는 등 변동성이 확대되는 경향. - 그렇지만, 장 후반 실적 발표 앞둔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 출회가 재차 확대되자 나스닥의 하락폭이 재차 확대. - 반면, 다우지수는 헬스케어와 에너지 등의 강세로 상승하는 등 미 증시는 업종 차별화 속 혼조 마감. - 다우: +0.01%, 나스닥: -2.04%, S&P500: -0.74%, 러셀2000: +0.46% 특이 종목 - MS: -7.72% 양호한 실적 발표에도 불구하고 클라우드 서비스 부진 여파로 하락. - 알파벳: -9.14% 광고 매출 둔화 여파로 부진한 실적을 발표하자 하락. - .. 2022. 10. 27.
22.10.25 (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영국의 정치 불확실성이 완화된 데 힘입어 상승 출발했으나, 중국발 정치 이슈로 중국 관련 종목들이 큰 폭으로 하락하자 약세로 전환하는 등 정치 이슈가 시장에 영향을 주며 변동성 확대. - 다만, 실적 시즌에 대한 기대 심리가 여전히 영향을 주며 헬스케어, 소매 유통업종 등 개별 종목군 중심으로 강세를 보이는 업종 차별화가 진행된 가운데 상승 마감. - 특히 중국 기업들이 포진한 나스닥보다 다우지수의 상승폭이 큼. - 다우: +1.34%, 나스닥: +0.86%, S&P500: +1.19%, 러셀2000: +0.35% 특이 종목 - MS: +2.12%, 애플: +1.48% 등은 실적 발표를 앞두고 강세를 보인 반면, - 아마존: +0.42% 은 3분기 실적은 견고하지만 4분기는 불확실성이.. 2022. 10. 25.
22.09.16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고용과 소비가 견고함을 보이자 국채 금리가 상승한 가운데 기술주가 하락을 주도. - 더불어 국제유가가 소비 둔화 우려 속 하락하자 에너지 업종의 약세도 영향. - 또한 선물옵션 만기일을 앞두고 개별 종목 변동성 확대도 전반적인 투자심리 위축 요인 - 결국 시장은 경제지표 해석과 그에 따른 연준의 정책에 대한 기대와 우려가 충돌한 가운데 일부 종목 중심으로 만기일을 앞두고 낙폭이 확대된 나스닥의 하락이 특징. - 다우: -0.56%, 나스닥: -1.43%, S&P500: -1.13%, 러셀2000: -0.72% 특이종목 - 어도비: -16.79% 200억 달러 규모로 디자인 소프트웨어 회사인 피그마를 인수한다고 발표하자 급락. 더불어 국채금리 상승 여파로 낙폭 확대요인. - 이 여파로 .. 2022.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