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삼성전자6

22.10.27 삼성전자 22년 3분기 실적 컨퍼런스콜 내용 DX (Device eXperience): - 2021년 12월 기존의 CE(가전) 부문과 IM (핸드폰) 부문을 DX부문으로 통합 - 무선사업부의 명칭을 MX (Mobile eXperience)사업부로 변경 - TV,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HHP (스마트폰 등), 네트워크시스템, 컴퓨터 등 생산, 판매 - VD (Visual Display), 가전 DS (Device Solution) - 디램, 낸드, 모바일 AP 등 생산, 판매 - System LSI (모바일 AP, 이미지센서 등) - 파운드리 DP (Display Panel) - 중소형 O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 판매 (SDC에서 함) Harnan - 디지털 콕핏, 텔레매틱스, 스피커 등을 생산 판매 22 .3Q 잠정 실적.. 2022. 10. 27.
22.07.15 (금) 금일 국내 시황 정리 - KOSPI: 2,330.98 (DD: +0.37%) - KOSDAQ: 762.39 (DD: -0.48%) > 대만 TSMC의 실적발표 이후 반도체 업황에 대한 우려가 완화되며 오늘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관련주가 강세. > 다만, 전반적인 투심은 악화된 모습. 중국 경제지표의 부진이 반영되었기 떄문. 중국의 2분기 GDP 성장률은 QoQ -2.6%기록하녀 20년 1분기 이후 첫 마이너스. 산업생산 역시 YY +3.9%로 발표되며 예상치 +4.1%를 하회한 점이 부정적으로 작용. > 반도체 섹터가 올라줬기 때문에 지수는 방어적이었지만 전반적으로 크게 하락한 장. 특징 섹터 > 섹터별로는 반도체, 일부 바이오, 의류 외에 전부 하락. > 전체적으로 중구난방 시장. 반도체만 오르고 리오프닝도 빠.. 2022. 7. 15.
22.07.11 (월) 금일 국내 시황 정리 - KOSPI: 2,340.27 (DD: -0.44%) - KOSDAQ: 767.04 (DD: +0.07%) - KOSPI: 295 종목 상승/ 569 종목 하락/ 64 종목 보합 - KOSDAQ: 697 상승/ 678 하락/ 111 보합 시장 현황 - 중국 시장 폭락, 코로나 19 재확산과 금주 수요일로 예정된 금통위, 미국 CPI 경계감에 하락. - 달러/원 환율도 1,300원 재 돌파. (1,305.50원) 미국의 견조한 고용지표 결과에 연준의 긴축 의지 강화될 가능성에 달러 강세 - 시장은 하락 섹터가 많았으며 - 주로 항공, 여행, 화장품, 건설, 시멘트, 조선, 유통, 인터넷, 해운, 풍력 등이 하락 주도 - 드라마제작사, 제약/바이오 / 반도체 중에서 후공정, PCB 가 견조한 모습 보임. .. 2022. 7. 11.
22년 5월 휴대폰 현황 5월 글로벌 스마트폰 현황 - 5월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 9,647만대 (MM: -4.3%, YY: -10.1%) 기업별 breakdown 1. 삼성전자: 2,165만대 (mm: -12%, yy: +5%) 2. 애플: 1,478만대 (mm: -5%, yy: -10%) 3. 샤오미: 1,166만대 (mm: -1%, YY: -26%) 4. 오포: 911만대 (mm: 플랫, yy : -23%) 5. 비보: 853만대 (mm: +2%, yy: -19%) 6. 리얼미: 475만대 (mm: -7%, yy: +11%) 7. 화웨이: 159만대 (mm: +2%. yy: -45%) 8. 아너: 407만대 (mm: +9%, yy: 91%) - 공급의 안정, 스마트폰 수요 둔화 및 생산 차질 안정화에 따른 타이트한 수급.. 2022.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