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휴대폰 섹터

22년 5월 휴대폰 현황

by 밤부스투자 2022. 7. 8.
반응형

5월 글로벌 스마트폰 현황

- 5월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 9,647만대 (MM: -4.3%, YY: -10.1%)

 

기업별 breakdown

1. 삼성전자: 2,165만대 (mm: -12%, yy: +5%)

2. 애플: 1,478만대 (mm: -5%, yy: -10%)

3. 샤오미: 1,166만대 (mm: -1%, YY: -26%)

4. 오포: 911만대 (mm: 플랫, yy : -23%)

5. 비보: 853만대 (mm: +2%, yy: -19%)

6. 리얼미: 475만대 (mm: -7%, yy: +11%)

7. 화웨이: 159만대 (mm: +2%. yy: -45%)

8. 아너: 407만대 (mm: +9%, yy: 91%)

 

- 공급의 안정, 스마트폰 수요 둔화 및 생산 차질 안정화에 따른 타이트한 수급 상황 해소

- 수요 불확실성 확대.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 강화, 중국 경제 침체 장기화, 지정학적 이슈 지속되고 있는 상황

- 공급> 수요 상황으로 재고가 쌓이며 OEM 업체들의 오더컷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

 

국가별 breakdown

1. 미국

- 5월 스마트폰 판매량: 1,144만대. (MM: -4%, YY: +2%)

미국 스마트폰 출하량, 출처: 미래에셋증권 (이하 출처 동일)

 

- 아이폰 중심의 대리점 프로모션 효과로 미국 지역 내 견조한 출하량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

- 6월 스마트폰 시장은 인플레이션 압박 영향으로 감소세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

- 아이폰 출하량의 80% 수준은 아이폰 13 시리즈. N-1 행사를 통한 아이폰 12 시리즈 재고 물량 밀어내기 효과로 하락 폭에 대한 방어 가능할 것으로 기대. 

- 삼성전자 A시리즈 출하량 강세도 긍정적.

 

1) 삼성전자: 336만대 (mm: +3%, yy: +7%)

- 22년 출시한 A시리즈 신제품 전 라인업 (갤럭시 a13 5g, A03s, A535G)이 판매 호조 기록.

- 21년 출시 모델을 포함한 레거시 모델 제품 없애며 신제품에 대한 프로모션에 집중하며 수요 자극.

- 5월 졸업 시즌 맞이, 메모리얼 데이 프로모션 등으로 Flip and Fold 시리즈 매출 소폭 증가. 

- 삼성전자 전체 출하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 수준으로 하반기 폴더블 출시와 함께 미국 스마트폰 시장 내 삼성전자 폴더블 스마트폰 점유율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

 

2) 애플: 515만대 (mm: -7%, yy: -14%)

- 5월 아이폰 13 시리즈 출하량은 전체 아이폰 판매량의 80%를 소폭 하회하는 수준.

- 5월 마지막 주를 기점으로 아이폰 12 판매량이 다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

 

 3) 모토롤라: 110만대 (mm: -3%, yy: +52%)

- 모토롤라 모토 G시리즈: Moto G Stylus 5G 2022 (프리미엄)와 Moto G 5F (미드레인지) 전략적으로 두 가지 버전으로 출시 하며 기존 moto G Pure와 함께 선불 시장에서 견조한 출하량 지속

2. 유럽

유럽 스마트폰 출하량

- 5월 스마트폰 판매량: 1,329만대 (MM: -7%, YY -20%)

 

- 공급+수요 동반 타격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지역. 코로나, 러-우 전쟁, 타이트한 부품 상황과 인플레이션 등 경기 침체에 따른 소비 위축.

- 삼성전자와 애플이 철수한 러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샤오미는 유럽 m/s 회복세 진입

- Honor는 삼성전자와 애플 철수의 반사 수혜에 서유럽 지역 M/S 강화를 통해 m/s 확대.

 

1)  삼성전자: 5월 출하량은 548만대 (mm: -7%, yy: -1%)

- 러시아 시장 철수, 러-우 전쟁 리스크로 삼성전자는 유럽 스마트폰 시장 내 6% 수준의 점유율 하락.

- 5월 스마트폰 출하량은 전월대비 7% 감소했으나 여전히 유럽 시장내 견고한 1위 M/S 기록

- Galaxy A33과 A53, S22 시리즈는 프랑스와 영국 지역에서 지속적인 인기를 얻으며 점유율 하락 폭 방어.

 

2)애플: 5월 출하량 276만대 (mm: -9%, yy: -16%) 기록

- 계절적 비수기, 러시아 시장 내 철수로 애플의 유럽 시장 M/S 는 지속 하락 추이

- 다만, 최근 독일, 스페인, 영국 중심으로 iPhone SE 출하량이 양호하게 나타나며, 점유율의 하방 지지

 

3) 샤오미: 5월 출하량 193만대 (mm: +1%, yy: -50%)

- 1분기 타이트한 스마트폰 부품 수급 상황이 완화되며  샤오미 출하량 회복세. 레드미 (Redmi, 저가스마트폰) 견조한 출하량

- 삼성전자와 Apple의 러시아 스마트폰 시장 철수로 반사 수혜 기대. 21년 11월 이후 M/S 1위 유지

 

4) 오포: 5월 출하량 97만대 (mm: -13%, yy: -12%)

- 경기 침체로 소비자 수요가 둔화되며 oppo 의 회복세 주춤

 

5) 리얼미: 5월 리얼미 출하량: 42만대 (mm: -8%, yy: +36%)

- 서유럽 중심으로 양호한 스마트폰 출하 기대

3. 중국

중국 스마트폰 출하량

- 중국 스마트폰 시장 5월 출하량은 1,984만대 ( mm: +7%, yy: -17%)

 

- 상하이 지역 봉쇄 조치가 완화되며 중국 스마트폰 시장은 전월대비 7% 성장하였으나, 전년동기대비 17% 하락한 출하량을 기록하며 글로벌 스마트폰 평균 대비 부진한 상황 지속

- 상하이/북경 락다운이 중국 소비 침체 및 서플라이체인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절대적

- 6/18 쇼핑 시즌에 따른 6월 스마트폰 판매량 회복 기대되나, 6월보다는 7월 이후 스마트폰 출하량 추이가 중요. yy 반등 시점에 대한 확인.

4. 인도

인도 스마트폰 출하량

- 인도 스마트폰 시장 5월 판매량: 1,206만대 (mm -9%, yy: +55%)

 

- 인플레이션 압박이 높아지며 경기 침체. 스마트폰 수요가 전반적으로 둔화되며 삼성전자와 리얼미 중심으로 재고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

- 인플레이션 압박으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며 하반기 OEM 업체들의 스마트폰 가격 인상 예정. 낮은 기저에도 성장 폭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

- 수요 둔화로 인도 스마트폰 시장은 유의미한 감소세 진입함.

- 중단기적으로 전반적인 OEM 업체들의 출하량은 감소할 것으로 예상

- 비보, 오포, 샤오미의 채널 재고는 안정적인 수준이나, 삼성전자와 리얼미의 유통 재고 수준이 높은 것으로 추정

- Diwali등 패스티벌 시즌에 앞서 공격적인 마케팅, 할인 프로모션 등 2분기  OEM 업체들의 재고 조정 예상

반응형

'휴대폰 섹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휴대폰 출시일 기초  (0) 2023.05.06
22.10.28 테크 산업 현황  (0) 2022.10.28
22.06.09 (목) 연간 글로벌 스마트폰 출하량 추이  (0) 2022.06.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