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램리서치18

22.10.21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경제지표를 통해 경기 침체 이슈가 부각되었음에도 견고한 고용지표로 인한 국채 금리 상승 여파로 하락 출발. - 다만 실적에 대한 기대가 부각된 기술주의 강세가 뚜렷하자 나스닥이 한 때 1.5% 상승하기도 했음. - 그러나 연준 위원들의 공격적인 통화정책 관련 발언으로 장 후반 국채 금리의 상승폭이 확대되고 달러화가 강세로 전환하자 - 유틸리티, 산업재 등을 중심으로 하락한 가운데 기술주 중심 매물 출회되며 하락. - 다우: -0.30%, 나스닥: -0.61% , S&P500: -0.80%, 러셀2000: -1.24% 특이 종목 - 테슬라: -6.65% 예상을 하회한 실적과 물류 문제로 차량 인도에 대한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여파로 하락. - 리비안,: -2.44%도 동반 하락했으나, .. 2022. 10. 21.
22.10.20 (목)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부진한 주택지표로 경기 침체 이슈가 불거진 가운데 - 넷플릭스: +13.09%의 견고한 실적에도 불구 - 애보트: -6.54% 의 부진한 실적으로 헬스케어 업종이 큰 폭으로 약세를 보이자 하락 출발. - 물론 반도체 업종이 견고함을 보여 한 때 상승하기도 했으나, 영국 이슈에 따른 달러 강세, 연준의 통화정책 및 카시카리 발언으로 국채 금리 급등이 이어지자 재차 매물 확대 - 그러나 베이지북에서 경기에 대한 자신감과 물가 완화 언급 등이 부각되자 달러 강세폭 축소로 지수 하락폭이 일부 축소되며 마감 - - 다우: -0.33% ,나스닥: -0.85%, S&P500: -0.66%, 러셀2000: -1.72% 특이종목 - 반도체 장비업체인 ASML: +6.27% 예상을 상회한 매출과 다음 .. 2022. 10. 20.
22.10.14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지수가 상승세를 이어가는 등 높은 물가 지표 발표로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고, 국채 금리가 급등하자 나스닥이 3.2% 급락하는 등 장 초반 변동성 확대. - 그러나 높은 물가로 미국 소비가 본격적으로 둔화될 수 있어 향후 물가 하락 압력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자 낙폭 축소. - 여기에 영국 정부의 감세안 추가 변경 기대로 파운드화가 급등하자 (달러화 약세) 기술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며 급격한 상승 전환에 성공. - 저점 대비 5% 넘게 상승. - 다우: +2.83%, 나스닥: +2.23%, S&P500: +2.60%, 러셀2000: +2.41% 특이 종목 - TSMC: +3.92% 분기 이익 급증 발표 등으로 상승. - AMAT: +4.. 2022. 10. 14.
22.10.12 (수)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경기 침체 이슈로 인해 투자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영국 금융시장에 대한 우려로 매물 출회되며 나스닥이 1.8% 하락하는 등 변동성이 확대. - 그러나 영국 BOE가 추가 정책을 발표하고 뉴욕 연은의 기대 인플레이션이 하락 추세를 보이자 달러 약세가 확대되며 상승 전환에 성공. - 다만 장 후반 영국 베일리 총재의 발언으로 파운드화가 약세로 전환하자 주식시장 매물이 급격하게 출되회며 결국 나스닥이 1% 넘게 하락 - 다우: +0.12%, 나스닥: -1.10%, S&P500: -0.65%, 러셀2000: +0.06% 특이종목 - 마이크론: +4.53% 뉴욕에 1천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단행한다고 발표했는데 이 경우 연방정부와 주정부로부터 90억 달러 이상의 세금 공제 등 인센티브를 받을 것.. 2022. 10.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