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일 국내 시황 정리217

23.05.18 (목) 금일 국내 시황 정리 - KOSPI: 2,515.40 (DD: +0.83%) - KOSDAQ: 835.89 (DD: +0.20%) 시장 분위기 - 전일 미국 시장이 부채한도 협상 관련 타결 얘기가 있으며 상승했고, 금일 국내 시장도 함께 상승. - 산업별로는 대부분의 산업이 상승했으며 특히 반도체, 디스플레이, PCB, 건설기계, 건설, 건자재, 자동차, 로봇, 방산, 상사, 임플란트, 산업이 상승을 주도, - 인터넷, 게임, 엔터, 드라마제작사, 항공, 여행, 화장품, 의류, 음식료, 바이오, 시멘트 산업이 하락. 산업별 상황 1. 먼저 화장품 산업에 대해 최근 해본 생각을 얘기하고 싶음. 일단 현재 화장품 분류는 1) 아모레퍼시픽, 코스맥스 2) 에이블씨엔씨, 토니모리 3) 클리오 4) 잉글우드랩, 코스메카코리아 5) 아.. 2023. 5. 18.
23.05.17 (수) 금일 국내 시황 정리 - KOSPI: 2,494.66 (DD: +0.58%) - KOSDAQ: 834.20 (DD: +2.14%) 시장 분위기 - 매크로적으로 호재성 이슈는 없지만 외인 기관 매수 들어오며 상승. (부채한도 이슈 발표는 안했지만 해결됐나 생각듦) - 대부분 산업 상승. - 건설, 건설기계, 철강, 비철금속, 유틸리티, 전력기기, 가스, 풍력, 원전 등 인프라 관련주 하락. - 조선, 해운, 방산, 유통, 의류, 화장품 (중소형주는 상승), 은행 등 그동안 방어되던 산업 하락. 특징 산업 1. 시장 상승하며 반도체 및 테크 관련주들 모두 상승. 이오테크닉스는 1분기 실적 쇼크의 냉기가 이어졌고, 자화전자는 LG이노텍의 수율이 더 좋다고 IR 발표하며 하락한듯. - SK하이닉스: +1.66%, LG전자: +1.2.. 2023. 5. 17.
23.05.16 (화) 금일 국내 시황 정리 - KOSPI: 2,480.24 (DD: +0.04%) - KOSDAQ: 816.75 (DD: +0.27%) 시장 분위기 -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와 함께 미국 부채 한도 협상을 앞두고 시장은 강보합 마감. - 산업별로는 - 반도체 대형주, 폴더블, 디스플레이, 게임, 엔터, 임플란트, 드라마제작사, 시멘트, 음식료, 곡물, 원전 산업이 강세 - 자동차, 조선, 조선기자재 (피팅 등), 해운, 건설, 건자재, 철강, 풍력, 수소, 인터넷, 바이오, 유통, 의류, 화장품, 방산, 로봇 산업 약세 - 2차전지는 양극재, 도전재, 첨가제 강세// 셀, 음극재, 전해액, 분리막, 동박, 알박은 약세 산업 정리 1. 반도체: 웨스턴디지털+키옥시아 합병 이슈로 대형주 상승, 둘 합병시 공급자 감소로 인한 낸드 업황.. 2023. 5. 16.
23.05.15 (월) 금일 국내 시황 정리 - KOSPI: 2,479.35 (DD: +0.16%) - KOSDAQ: 814.53 (DD: -0.96%) 시장 분위기 - 국내 증시는 전주 미국 부채 한도 협상 지연과 미국의 경제지표 부진, 국내 CFD 발 투심 악화로 혼조 마감 - 오후들어 KOSPI는 양전 성공, KOSDAQ은 낙폭 축소 - 산업별로는 상승 하락이 뚜렷하게 나타나진 않았고 산업 내에서도 좋은 기업들 위주로만 상승. 특징 섹터 1. 미용기기 : 1분기 호실적 발표 및 기대, 2분기 및 하반기 기대로 상승. - 파마리서치: +5.54%, 원텍: +4.79% > 트레이딩으로만 하자. 많이 올랐음. 2. 풍력: 미국 IRA 보조금 수령 가능성이 부각되며 강세 - 씨에스윈드: +3.43%, 씨에스베어링: +1.43%, HD현대에너지솔루션:.. 2023.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