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일 국내 시황 정리217

23.03.06 (월) 금일 국내 시황 정리 - KOSPI: 2,462.62 (DD: +1.26%) - KOSDAQ: 816.51 (DD: +1.76%) 시장 분위기 - 양 시장 상승 마감. 지난 금요일 미 증시 강세와 함께 연준 통화정책 우려가 완화된 점,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지수가 4% 대로 하락한점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 - 우리나라의 2월 소비자물가지수는 YY: +4.8%, MM: +0.3%로 시장 예상치 YY +5.1%, MM: +0.5% 를 모두 하회. - 연율 기준으로 4% 대를 기록한 것은 2022년 5월 이후로 처음. - 산업별로 반도체, 2차전지가 매우 강세. 양회로 올랐던 철강, 화학, 건설, 건자재, 시멘트 등 하락. 특징 섹터 1. 테슬라의 중국 판매 호조와 2차전지 삼성SDI와 GM 과 MOU 체결 소식에 2차전지 전반적인.. 2023. 3. 6.
23.03.03 (금) 금일 국내 시황 정리 - KOSPI: 2,432.07 (DD: +0.17%) - KOSDAQ: 802.42 (DD: +1.93%) 시장 분위기 - 국내 증시는 2차전지 관련주와 셀트리온 그룹주의 강세가 지수를 견인하며 상승 마감 - 양시장 모두 증시는 상승했으나 상승 종목과 하락 종목의 수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일부 종목들의 강세로 그들만의 파티를 시현 - 산업별로는 바이오, 2차전지, 드라마제작사가 강세. 테마는 비대면 진료, 로봇 테마가 강세 특징 섹터 1. 성장성 기대감 지속되며 2차전지 업종 강세 - 에코프로비엠: +14.03%, 대주전자재료: +6.42%, 후성: +5.44%, 더블유씨피: +7.10%, 나노신소재: +2.23%, 천보:+ 9.02%, SKC: +9.03%, DI동일: +4.76% 2. 정부.. 2023. 3. 3.
23.03.02 (목) 금일 국내 시황 정리 - KOSPI: 2,427.85 (DD: +0.62%) - KOSDAQ: 787.19 (DD: -0.56%) 시장 분위기 - 국내 증시는 지표 부진과 금리 급등에 하락한 미국 증시의 투심이 연장되며 경계심 높은 장세 시현하며 소폭 상승 마감 -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47.7 (예측치 48.0, 이전치 47.4) 로 위축 국면 지속 - 금일 코스닥에서는 그동안 상승을 주도했던 AI 와 일부 2차전지 관련주들의 차익실현 매물 출회 & 순환매 - 코스피는 반도체 지원법에 대한 우려로 반도체 업종들의 약세가 지수 상승을 제한했으나 2차전지, 철강 업종들의 강세가 지수를 견인. - 산업별로 정유, 화학, 자동차, 의류, 화장품, 철강, 피팅밸브, 필러 등의 산업이 강세. (중국 관련된 산업이 대체적으로.. 2023. 3. 2.
23.02.28 (화) 금일 국내 시황 정리 - KOSPI: 2,412.84 (DD: +0.42%) - KOSDAQ: 791.59 (DD: +1.45%) 시장 분위기 - 국내 증시는 전일 낙폭 과대에 대한 반발 매수세 유입으로 상승한 미국 증시와 발 맞추어 상승 마감. - 다만 오후에 외국계 증권사의 반도체 주식의 30% 추가 하락 전망 발표 기사가 나오며 삼성전자, SK하이닉스등 관련주들이 상승폭을 반납하며 지수 상승 제한 요인으로 작용. - 전반적인 투심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아 종목별 변동성 높은 장세 시현 - 산업별로 대부분의 산업 상승했고 정유, 화학, 원전, 건설, 철강 등 약세 특징 섹터 1. 정부의 폐배터리 재활용 기술에 세액공제 적용을 추진해 광물 수입 의존도를 낮추겠다는 계획에 폐배터리 관련주 강세. - 코스모화학: +8.16%, .. 2023. 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