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9

23.04.17 (월)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미 증시는 부진한 경제지표 불구하고 양호한 기업실적 발표에 힘입어 상승 출발. - 그러나 크리스토퍼 월런 연준 이사의 매파적인 발언에 이어 장중 발표된 미시간대의 1년 기대 인플레이션이 기존의 3.6% 에서 4.6%로 크게 상향 조정되자 하락 전환 - 이 소식에 달러 강세, 국채 금리 급등이 이어지며 은행주를 제외한 대부분의 종목 중심으로 매물 출회되며 하락 전환 - 다만, 실적 시즌에 대한 기대 심리도 이어지며 낙폭은 제한 - 다우: -0.42%, 나스닥: -0.35%, S&P500: -0.21%, 러셀2000: -0.86% 특이 종목 - JP모건: +7.55% 견고한 실적과 배당 발표 등으로 급등. 특히 다이몬 CEO가 상황이 상당히 진정되고 있다고 주장한 점도 우호적. - 씨티그.. 2023. 4. 17.
23.04.14 (금) 금일 국내 시황 정리 - KOSPI: 2,571.49 (DD: +0.38%) - KOSDAQ: 903.84 (DD: +1.07%) 시장 분위기 - 국내 증시는 CPI에 이어 PPI 까지 재차 확인한 물가 둔화세에 긴축 우려 완화되며 위험자산 선호로 상승 마감. - 산업별로는 2차전지, 인터넷, 게임, 엔터, 조선, 해운, 건설, 건자재, 풍력, 원전, 제약 바이오 강세, 반도체, 자동차 약세 특징 섹터 1. 포스코인터내셔널, 포스코에너지 합병 후 그룹사 시너지 기대감에 포스코 그룹주 강세 - 포스코엠텍: +23.48%, 포스코인터내셔널: +19.10%, 포스코스틸리온: +14.81% 2. 게임주 판호 효과로 중국 매출 기대되며 상승. - 데브시스터즈: +14.61%, 넥슨게임즈: +2.16% 3. 엔터산업 하반기 현지인 아이.. 2023. 4. 14.
23.04.14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미 증시는 생산자 물가지수가 전월 대비 0.5% 하락하는 등 물가 하락 압력이 확대된데 힘입어 달러화가 약세를 보이자 기술주 중심으로 상승. - 특히 대형 기술주가 개별 호재성 재료로 큰 폭으로 상승하며 이를 주도. - 물론, 여전히 경기 침체 이슈가 지속되고 있어 부담을 주기도 했으나, 오늘 시장은 물가 하락에 따른 달러 약세에 주목하며 기술주가 상승을 주도 했다고 볼 수 있음. - 이에 힘입어 나스닥은 2% 상승 - 다우: +1.14%, 나스닥: +1.99%, S&P500: +1.33%, 러셀2000: +1.30% 특이 종목 - 아마존: +4.67% 새로운 클라우드 서비스와 자체적인 대규모 언어 모델로 AI 경쟁에 뛰어들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가엣. - 애플: +3.41% 궈밍치 .. 2023. 4. 14.
23.04.13 (목) 금일 국내 시황 정리 - KOSPI: 2,561.66 (DD: +0.43%) - KOSDAQ: 894.25 (DD: +0.41%) 시장 분위기 - 국내 증시는 2차전지 업종의 조정& 경기 침체 우려에 높은 변동성을 시현했으나 2차전지 업종의 낙폭 축소와 제약바이오 업종의 강세에 소폭 상승 마감 - 전일 뉴욕증시는 예상처럼 둔화한 CPI 발표에 물가 둔화와 경기 침체 우려 사이에서 변동성을 보이다 FOMC 회의록 발표에 하락폭 확대. - 산업별로 제약바이오, 게임,엔터, 조선, 풍력 등이 상승// 반도체, 2차전지 하락 특징 섹터 1. 엔터산업, 하나증권 이기훈 애널 레포트나오며 관련주들 상승 - 에스엠: +6.83%, 하이브: +4.03% 2. 제약바이오, aacr 학회 발표 기대감에 바이오산업 전반적 강세 - SK바이오사이.. 2023.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