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일 해외 증시

23.05.09 (화) 전일 해외 증시

by 밤부스투자 2023. 5. 9.
반응형

미국 증시 동향

- 미 증시는 지난 금요일 상승에 따른 일부 매물이 출회된 가운데 뉴욕 연은이 발표한 소비자 기대조사에서 가계지출 전망이 둔화되었다는 점이 부각되며 경기 둔화 우려 속 장 초반 하락하기도 했음.

- 그렇지만, 이보다 소비자 물가지수 등 주요 지표 발표를 앞두고 제한적인 등락 속 종목 장세를 보이며 보합권 등락.

- 오후 들어 연준의 대출 관행 보고서에서 대출 조건이 광범위하게 강화되었다는 소식에 잠시 약세폭을 확대하기도 했으나 재차 매수세가 유입되며 결국 시장은 혼조 마감

 

- 다우: -0.17%, 나스닥: +0.18%, S&P500: +0.05%, 러셀2000: -0.31%

 

특징 종목

- 버크셔 해서웨이: +0.70% 

 1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12.6% 증가하는 등 견고한 실적 발표에 힘입어 강세

- 사이버 보안 회사지스케일러: +20.63%

 견고한 실적가이던스 상향 조정으로 급등.

- 여기에 포티넷: +2.31% 에 대해 BOA가 실적 기대로 투자의견을 상향 조정하자 사이버 보안 회사들의 강세를 견인.

- 크라우드스트라이크: +8.13%, 팰로앨토: +4.13% 등도 동반 상승.

 

- AMD: +5.79%

 전일 AI 산업에 대해 반응을 보이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음.

 -특히 엔비디아 : +1.64% 의 상승폭에 비해 저조했다는 점이 매수세를 촉발했으며, 이러한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는 분석도 긍정적인 영향.

- C3.AI (+2.83%), 깃랩: +9.02% 은 물론 알파벳: +2.08%, 메타: +0.21% 등도 강세를 보임.

- 특히 검색시장 강화를 위한 알파벳의  AI채팅과 짧은 비디오 클립 추가 계획도 강세 요인.

- 다만, MS: -0.64%일부 차익 매물과 알파벳의 계획에 하락했으며 마이크론: -0.59%, AMAT: -0.27% 등 여타 반도체 종목군도 부진한 모습을 보이는 등 차별화 진행.

 

- 반면, 타이슨 푸드: -16.41% 

 예상을 하회한 실적가이던스 하향 조정으로 급락.

- 의약품 제조 업체캐털란트: -25.74%

 실적 발표를 미루고 가이던스를 크게 하향 조정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자 급락.

  BOA도 빠른 회복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다며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한 점도 부담

- 더불어 다나허: -1.32% 가 더이상 인수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보도도 급락 요인 중 하나이며 다나허도 동반 하락.

 

주요 경제 지표

뉴욕 연은이 발표하는 4월 소비자 기대조사

- 1년 기대 인플레이션지난달 발표된 4.7%에서 4.4%로 하락.

- 이는 교육비가 8.9%에서 7.8%로 식품이 5.9%에서 5.8%로 둔화된 데 따른 것으로 추정.

- 다만, 가솔린 가격이 4.6%에서 5.1%로 상승했고, 의료비가 9.3%, 주거비가 9.2%로 변함이 없었음.

 

미국 4월 고용동향 지수

- 지난달 발표된 115.51에서 116.18로 증가해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 했으나 2022년 3월 이후 하락 추세는 여전히 유지단기적으로 고용은 견고하겠지만, 하반기 고용 둔화 가능성은 여전히 높을 것으로 추정.

 

미국 3월 도매재고

- 지난달에 이어 전월 대비 변함이 없어 시장 예상치인 0.1% 증가보다 부진.

 

국제 유가

- 최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상승.

- 특히 지난 주 금요일 미국 고용시장의 견조한 흐름을 보여 경기 위축에 따른 수요 둔화 가능성을 약화시킨 점, 

- 그리고 드라이빙 시즌을 앞두고 수요 증가 기대가 높아진 점도 긍정적인 영향.

- 천연가스 가격 지난 주 난방 수요 감소로 큰 폭으로 하락오늘은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5% 가까이 급등하는 등 반발 매수세가 특징.

 

- 달러 강세 및 국채 금리 상승에도 불구하고 경기 침체 우려가 부각되자 상승

- 구리 및 비철금속 관련 LME 시장 휴장.

 

한국 증시 전망

- MSCI 한국 지수 ETF: 0.06% 하락

- MSCI 신흥 지수 ETF: 0.05% 상승

- NDF달러/원 환율 1개월물: 1,320.05원으로 반영시 달러/원 환율 2원 하락 출발 예상

- Eurex KOSPI200 선물: 0.02% 상승. KOSPI: 보합권 출발 예상

글로벌 지수
주요 ETF, 섹터지수
주요 원자재

 

밤부스 생각

- 들고 있는것만 가져가자.

- 추가 금리인상 노이즈 나올 가능성 및 경기 부진 이유.

- 빠지면 사야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