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맥도날드5

23.02.01 (수)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국제 통화기금 (IMF)은 세계경제가 강력한 노동시장, 견조한 가계 소비 및 기업 투자, 유럽의 에너지 위기에 대한 예상보다 나은 적응을 보이며 놀라울 정도의 회복력을 보였다고 평가. - 유로존의 지난 4분기 경제성장률은 0.1% 증가하며 0.1% 둔화할 것으로 예상한 시장 기대를 상회. - 컨퍼런스보드에서 발표한 1월 미국 소비자신뢰지수는 경기침체에 대한 소비자들의 우려가 커지며 전월 108.3과 109.0을 모두 하회. - 양호한 경제성장률을 기록한 유로존 역시 가계소비 위축에 대한 우려 키움. - 다우: +1.09% ,나스닥: +1.67%, S&P500: +1.46%, 러셀2000: +2.45% 특이 종목 - 1월 증시를 한 마디로 요약하면 'Risk-ON'즉 투자자들의 위험자산.. 2023. 2. 1.
22.10.28 (금)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3분기 GDP 성장률이 2.6%로 발표되는 등 경기에 대한 자신감이 유입되며 상승 출발했으나, - 대형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되며 나스닥이 하락 전환하는 등 여전히 변동성이 확대 - 물론 ECB 통화정책 회의를 통해 금리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이 부각되고 미국 물가 하방 압력이 뚜렷한 모습 속 국채 금리가 하락하는 등 안정을 보인 점도 긍정적이나, - 여전히 개별 종목별 변화에 따른 지수 움직임이 이어지며 혼조 마감 - 다우: +0.61%, 나스닥: -1.63%, S&P500: -0.61%, 러셀2000: +0.11% 특이 종목 - 메타 플랫폼스: -24.56% 부진한 광고 수익과 다음 분기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으로 투자의견 등이 하향 조정이 확대되자 큰 폭으로 하락 - MS: -.. 2022. 10. 28.
22.09.26 (월) 전일 해외 증심 미국 증시 동향 - 영국의 대규모 부양정책으로 인플레이션 고조에 대한 우려를 부추겼으며 이는 금리인상을 확대해 결국 글로벌 경기 침체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점이 부각되며 한 때 3% 가까이 하락. - 더불어 금리 급등이 결국 기업들의 실적 영향을 줘 밸류에이션 부담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도 영향. - 그러나 장 마감 앞두고 바이든이 최근 미 증시 하락에 대해 주시하고 있다고 발표하고, 경기 침체가 상대적으로 낙폭이 제한될 수 있는 대형 기술주와 경기 방어주 중심으로 낙폭 축소되며 마감 - 다우: -1.62%, 나스닥: -1.80%, s&p500: -1.72%, 러셀2000: -2.48% 특이종목 - 코스트코: -4.26% 견고할 실적을 발표한 이후 회원가를 인상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하자 하락 - 퀄컴:.. 2022. 9. 26.
22.07.27 (수) 전일 해외 증시 미국 증시 동향 - 월마트: -7.60% 가 높은 인플레이션을 이유로 소비 행태가 변화했다며 향후 전망을 하향 조정하자 소비 관련 종목 중심으로 하락. - 더불어 전자 상거래 플랫폼 회사인 쇼피파이: -14.06% 의 구조조정 소식도 아마존: -5.23% 등 관련 종목 하락을 부추겨 전반적인 시장 하락을 야기. - 더 나아가 러시아의 천연가스 공급 감소에 따른 유로존 경기 침체 우려가 부각되며 달러화가 강세를 보인 점도 기술주 중심 매물 출회 요인. - 다우: -0.71%, 나스닥: -1.87%, S&P500: -1.15%, 러셀2000: -0.69% 특이 종목 - 월마트: -7.60% 높은 인플레이션으로 소비 행태가 변화하며 실적이 부진할 것이라며 가이던스를 하향 조정하자 하락. - 타겟: -3.61%.. 2022. 7.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