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동향
- 타겟 :-24.93% 의 실망스러운 실적 결과가 높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기업 이익을 해치고 소비자 행동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주자 관련된 종목군 중심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 특히 전일 파월 연준 의장의 좀 더 매파적인 발언으로 높은 인플레로 인한 연준 정책에 대한 우려가 높아진 점도 부담.
- 이 여파로 소비 관련 종목군과 기술주 중심으로 매물이 출회되며 옵션 만기일을 앞두고 변동성 확대 속 하락 마감.
- 다우: -3.57%, 나스닥: -4.73%, S&P500 -4.04%, 러셀2000 -3.56%
특이종목
- 타겟: -24.93%
매출은 양호했으나, 비용 증가에 따른 이익 감소를 보고했고 향후 전망도 부정적으로 제시해 급락.
- 월마트: -6.79%, 코스트코: -12.45%, 달러 제네럴: -11.11% 등 소매 유통 업종 하락이 뚜렷.
- BOA가 인플레이션으로 타격을 입을 기업으로 아마존: (-7.16%), 가정용품 업체인 크로락스 (-6.97%) 등을 발표하자 관련 기업 하락
- 애플 (-5.64%)
스마트폰 수요 둔화 우려가 부각되자 하락
- 홈디포: -5.24%, 로우스: -5.26% 등 인테리어 업종은 물론
- 부킹닷컴: -4.48%, 메리어트: -6.58% 등 여행, 호텔, 넷플릭스 (-7.02%) 등 스트리밍, 디즈니 (-3.99%) 등 레저 업종의
하락이 뚜렷.
- 테슬라 (-6.80%)
S&P500이 ESG 지수에서 제외했다는 소식과 미국 소비 둔화 우려가 부각되자 하락.
- GM (-5.96%), 포드 (-5.54%) 등 여타 자동차 업종은 물론 오릴리 오토모티브 (-7.48%) 등 자동차 부품 업종 등
소비와 관련된 종목등 동반 하락.
- 특히 높은 가격으로 인해 소비 조정 항목으로 회식, 운전, 월간 구독, 저가브랜드, 여행 취소 등이 부각되자 관련 품목 대부분 하락한 것으로 추정
- 반면 TJX (+7.12%) 는 견고한 실적과 향후 전망을 상향 조정하자 상승.
- EA : +0.39%
데드 스페이스 리메이크 출시를 앞두고 기대 심리 부각되며 상승
한국 증시 전망
- MSCI 한국 지수 ETF: 3.33% 하락
- MSCI 신흥 지수 ETF: 2.40% 하락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 1,276.84원으로 반영시 달러/원 환율 9원 상승 출발 예상
- Eurex KOSPI200 선물: 2.14% 하락 / KOSPI 1.5% 내외 하락 출발 예상
출처: 미래에셋증권
밤부스 생각
- 어제를 기점으로 며칠은 더 오르다 빠질 것으로 생각했는데 이렇게 바로 급락이 나와 당혹 스럽다.
- 올해 시장 앞으로 계속 이런식으로 갈것.
- 지수는 우상향 할 것이나 변동폭은 크고 기울기는 작게 갈것 같다.
- 오늘 장초반 덜빠지면 던져놓고 리스크 관리하는게 나을 것 같고. 장 초반 부터 다 빠지고 시작하면 사보는것도 나쁘지 않을 듯 하다.
- 시장이 많이 어렵다. 변동성이 너무 커서
- 하지만 리세션 반영을 계속 이렇게 천천히 하면서 반등 해주고 하면 결국은 우하향 장으로 가진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전일 해외 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5.23 (월) 전일 해외 증시 (0) | 2022.05.23 |
---|---|
22.05.20 (금) 전일 해외 증시 (1) | 2022.05.20 |
22.05.18 (수) 전일 해외 증시 (0) | 2022.05.18 |
22.05.17 (화) 전일 해외 증시 (0) | 2022.05.17 |
22.05.16 (월) 전일 해외 증시 (2) | 2022.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