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시 동향
- 경기 침체 이슈로 인해 투자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영국 금융시장에 대한 우려로 매물 출회되며 나스닥이 1.8% 하락하는 등 변동성이 확대.
- 그러나 영국 BOE가 추가 정책을 발표하고 뉴욕 연은의 기대 인플레이션이 하락 추세를 보이자 달러 약세가 확대되며 상승 전환에 성공.
- 다만 장 후반 영국 베일리 총재의 발언으로 파운드화가 약세로 전환하자 주식시장 매물이 급격하게 출되회며 결국 나스닥이 1% 넘게 하락
- 다우: +0.12%, 나스닥: -1.10%, S&P500: -0.65%, 러셀2000: +0.06%
특이종목
- 마이크론: +4.53%
뉴욕에 1천억 달러 규모의 투자를 단행한다고 발표했는데 이 경우 연방정부와 주정부로부터 90억 달러 이상의 세금 공제 등 인센티브를 받을 것이라는 소식에 상승.
- 그러나 미국 정부의 대 중국 반도체 제재 여파가 지속되며 램리서치: -6.75%, AMAT: -3.65% 등 반도체 장비 업종은 물론 퀄컴: -3.99%, 온 세미컨덕터: -3.97% 등 여타 반도체 업종의 하락은 지속돼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는 2.50% 하락.
- 넷플릭스: -6.82%
BOA가 실적 발표를 앞두고 부정적인 평가를 발표하자 하락.
- 메타플랫폼: -3.92%
애틀랜틱이 디지털 광고 시장의 경쟁 확대를 이유로 이익 둔화 우려를 감안 투자의견을 하향 조정하자 하락.
- 우버: -10.43%와 리프트: -12.02%
운전자가 독립 계약자가 아닌 직원으로 분류하는 규칙을 발표하자 실적 부진 우려 속 하락.
- JP모건: -2.89%, BOA: -2.90% 등 금융주는 경기 침체 우려로 충당금을 50억 달러 구축한다는 소식에 하락
- 암젠: +5.72%
모건스탠리가 방어주의 일환으로 해석될 수 있다며 투자의견을 상향 조정하자 강세.
- 애브비: +2.31%, 브리스톨 마이어스: +1.71%, 머크: +0.63% 등도 동반 상승
- 월그린 부츠: +2.42%
의료회사인 케어센트릭스 인수 발표하자 강세.
- 월마트: +2.59%
헬스케어 관련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발표하자 상승
- 포드: +1.76%
전일 급락에 따른 반발 매수에 힘입어 상승
한국 증시 전망
- MSCI 한국 지수 ETF: 0.16% 하락
- MSCI 신흥 지수 ETF: 1.59% 하락
-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 :1,431.64원으로 반영시 달러/원 환율 5원 하락 출발 예상.
- Eurex KOSPI200 선물: 0.04% 하락.
- KOPI 0.3% 내외 하락 출발 예상
밤부스 생각
- 경기 불확실성은 지속되고 있음.
- 하지만 바닥 다지는 과정도 함꼐 보이고 있으므로
- 민감하게 대응하자
- 현재는 현금 보유, 매수 시기 근접.
'전일 해외 증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0.14 (금) 전일 해외 증시 (0) | 2022.10.14 |
---|---|
22.10.13 (목) 전일 해외 증시 (0) | 2022.10.13 |
22.10.07 (금) 전일 해외 증시 (0) | 2022.10.07 |
22.10.06 (목) 전일 해외 증시 (0) | 2022.10.06 |
22.10.05 (수) 전일 해외 증시 (1) | 2022.10.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