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바이오 섹터

면역항암제 (면역관문억제제) 쉽게 이해하기

by 밤부스투자 2022. 8. 30.
반응형

암세포와 T세포

- T세포는 암세포를 공격해서 우리 몸을 건강하게 지켜주는 세포인데

- 암세포가 T세포를 속여서 공격을 안받게 만들어 우리가 암에 걸림.

- 이 과정을 설명.

 

1. 암세포 표면의 단백질인 PD-L1 이 

 

2. 면역세포인 T세포의 PD-1과 결합하면

 

3. T세포는 암세포가 불량세포인걸 알아채지 못하고 그냥 지나치게됨

 

- 면역관문억제제는 암세포의 이런 눈속임을 차단하는 약.

 

- 면역세포 표면의 PD-1에 면역관문억제제가 먼저 결합해 암세포가 결합하는걸 막는 것.

출처: 생로병사 비밀 방송

 

- 그럼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적으로 인식해 공격을 개시함.

 

- 우리몸의 면역세포를 활용하는 면역 항암제는 기존의 항암 치료와는 다른 전혀 다른 새로운 치료법은 분명하나

 

- 단점은

  이 약이 10명중 2명에게만 효과를 보임.

 

이런 면역항암제의 대표약으로는

 

우리가 가장 잘 아는 '키트루다' 가 있음.

키트루다는 PD-1 을 억제하는 역할을 해서 PD-L1과 만나지 않게해 암세포를 공격하는 원리를 갖고 있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