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SPI :2,328.61 (DD: +0.47%)
- KOSDAQ: 763.18 (DD: +1.65%)
- 오전 금통위 50bp 금리 인상 발표 (2.25%) 이후 불확실성 해소되며 상승세 유지
- 다만, 미국 6월 CPI 지수 발표에 대한 경계감과 중국 증시 하락 전환에 상승폭 일부 축소
특징 섹터
1. 유가 하락 및 정유업계 유류 공급가 인하 소식에 항공 관련주 강세
- 대항항공: +4.65%, 진에어: +6.06%, 제주항공: +6.62%
2. 2차전지 섹터 강세. 과대낙폭과 에코프로비엠 2분기 실적 서프 기대감 이야기가 돌며 상승.
- 에코프로비엠: +8.21%, 엘앤에프: +4.32%, 포스코케미칼: +4.33%, 대주전자재료: +2.88%
3. 바이오 섹터 강세/ 과대 낙폭
- 네오이뮨텍: +20.33%, 엔케이맥스: +3.06% 등.
4. '오징어게임' 이 에미상 후보로 지정되며 영상콘텐츠 관련주 강세.
- 버킷스튜디오: +14.60%, CJ ENM: +6.93%, 덱스터: +6.86%
5. 게임 섹터 상승 (과대 낙폭과, 중국의 광대증권 게임 에널래스트가 7월 세번째로 로컬 게임 판호 발급 이후 매월 상시적으로 발급될 것으로 예상하며 해외 판호 발급에 대한 기대로 추정 됨)
- 크래프톤: +2.32%, 엔씨소프트: +2.37%, 넷마블: +2.68%
6. 반도체 전공정, 후공정 전부 다 지수 상승 견인.
- 원익머트리얼즈: +2.06%, 한솔케미칼: +3.58%, 한미반도체: +4.12%, SFA반도체: +5.00%
7.조선, 풍력, 원전, 태양광 약세
- 유가 하락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
수급
밤부스생각
- 내일 CPI 발표인데 이미 백악관에서도 9%까지 말했고 시장에서도 어느정도 수긍한 상태
- 75bp 인상보다 더 할 가능성이 있을까
- 오늘 발표 후 불확실성 해소로 내일 시장 상승 하길 기대해보자..
- 예측이 어려운 장. 하지만 내일 하락하면 다시 매수기회. 이미 악재 오픈 다됐음.
'금일 국내 시황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7.15 (금) 금일 국내 시황 정리 (0) | 2022.07.15 |
---|---|
22.07.14 (목) 금일 국내 시황 정리 (0) | 2022.07.14 |
22.07.12 (화) 금일 국내 시황 정리 (0) | 2022.07.12 |
22.07.11 (월) 금일 국내 시황 정리 (0) | 2022.07.11 |
22.07.08 (금) 금일 국내 시황 정리 (0) | 2022.07.08 |
댓글